역학칼럼

옛날에도 일기예보를 했을까?(1)

청무장 2010. 6. 14. 11:22

 

. 오운육기

 오운육기 이론은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의 변화이론에 기초한다

 기상예측은 물론 농축산물의 작황, 산림 생태계, 건강에 영향을 주는 생체리듬 판단이론이다

 운기이론으로 기상예측이 가능한 것은 기후의 변화 주기 1만년에 기초하여 작은 스케일의

 규칙성을 가진다는 것에 근거한다.

 지구는 과거 수십만년동안 빙하기와 간빙기를 거쳐 지금의 생태계가 되었다.

 빙하의 주기적인 발달의 가장 설득력 있는 가설은 태양복사에너지의 유입량의 변화가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것이다. 옛 유고연방의 응용수학자 밀란코비치 는 

 태양복사량의 변화 유발요인을 다음 세가지로 들었다

 1. 세차운동: 지구자전축의 기울기 변화가 아니라 자전축이 25,800년 주기로 원을 그리며

                   팽이처럼 회전하는 것이다

 2. 지구 자전축 기울기 변화: 지축의 기울기가 41,000년을 주기로 21.5도에서 24.5도까지 변하는

                                        것이다. 현재 지축 기울기는 23.5도이다. 기울기가 클수록 계절의

                                        변화가 커진다

 3. 지구의 공전궤도 변화: 10만년을 주기로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변했다가 원래대로 돌아간다

                                    이 과정에서 태양과 지구의 거리가 변화한다

위와같이 태양복사열이 지구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태양과 달, 5개의 행성인 목성, 화성, 토성, 

금성, 수성등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동양의 음양과 오행을 지칭한다.

빙하기 이론이 긴 형태의 주기성을 말한다면 오운육기이론은 180년 주기를 가진 절기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역학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運)의 길흉 판단  (0) 2010.08.29
옛날에도 일기예보를 했을까?(2)  (0) 2010.08.17
생명력의 흥망  (0) 2010.06.13
木氣는 어떻게 작용할까?  (0) 2010.06.11
책을 읽는 순서  (0) 2010.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