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

사주명리학교재-간지체성

청무장 2011. 6. 25. 09:44

간지체성(干支體性)


제1편(第一篇) 간지론(干支論) ------------- 004

[01] 간지기원(干支起源)
[02] 간지원류(干支源流)


 


제2편(第二篇) 천간론(天干論) ------------- 015

[01] 천간십간(天干十干)
[02] 십간음양(十干陰陽)(1)
[03] 십간음양(十干陰陽)(2)
[04] 십간론(十干論)
[05] 십간명자지의(十干名字之義)
[06] 십간분배천문(十干分配天文)
[07] 천간비해(天干秘解)
[08] 천간음양생사(天干陰陽生死)


 


제3편(第三篇) 지지론(地支論) ------------- 066

[01] 지지(地支), 십이지지(十二地支)
[02] 십이지(十二支)의 음양(陰陽)(1)
[03] 십이지(十二支)의 음양(陰陽)(2)
[04] 십이지(十二支)의 사시(四時)
[05] 십이지(十二支)의 명자지의(名字之義)
[06] 지지속상(地支屬相), 동물비유(動物比喩)
[07] 십이지론(十二支論)
[08] 지지분배지리(地支分配地理)
[09] 간지오행(干支五行)과 방위(方位)
[10] 육십간지(六十干支)
[11] 연구과제(硏究課題)


 


제4편(第四篇) 성정론(性情論) ------------- 195
       
[십이지(十二支) 성정론(性情論)]

[01] 십이지(十二支) 성정론(性情論)
[02] 성정론(性情論) 해설(解說)
[03] 성정론(性情論) 사례(事例)
[04] 성정론(性情論) 활용(活用)


 


제5편(第五篇) 체성론(體性論) ------------- 205

[01] 체성론(體性論)
[02] 갑목(甲木) 체성론(體性論)

[03] 인목(寅木) 체성론(體性論)
[04] 을목(乙木) 체성론(體性論)
[05] 묘목(卯木) 체성론(體性論)
[06] 병화(丙火) 체성론(體性論)
[07] 사화(巳火) 체성론(體性論)
[08] 정화(丁火) 체성론(體性論)
[09] 오화(午火) 체성론(體性論)
[10] 무토(戊土) 체성론(體性論)
[11] 진토(辰土) 체성론(體性論)
[12] 술토(戌土) 체성론(體性論)
[13] 기토(己土) 체성론(體性論)
[14] 축토(丑土) 체성론(體性論)
[15] 미토(未土) 체성론(體性論)
[16] 경금(庚金) 체성론(體性論)
[17] 신금(申金) 체성론(體性論)
[18] 신금(辛金) 체성론(體性論)
[19] 유금(酉金) 체성론(體性論)
[20] 임수(壬水) 체성론(體性論)
[21] 해수(亥水) 체성론(體性論)
[22] 계수(癸水) 체성론(體性論)
[23] 자수(子水) 체성론(體性論)
[24] 십간(十干) 체성론(體性論) 요약표(要約表)
[25] 국운간법(國運看法)의 체용변(體用變)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명리학교재-십이운성  (0) 2011.07.03
사주명리학교재-납음오행  (0) 2011.06.30
사주명리학교재-음양오행  (0) 2011.06.23
십이운성(十二運星)  (0) 2011.05.02
오행의 기원(1)  (0) 2010.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