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운성(十二運星)
제1편(第一篇) 십이운성(十二運星/十二運)의 개요(槪要) -- 005
[01] 십이운성(十二運星/十二運)의 개요(槪要)
[02] 십이운성표(十二運星表)
[03] 십이운(十二運)의 구분(區分)
[04] 십이운(十二運) 붙이는 방법(方法)
[05] 십이운(十二運) 전후인종법(前後引從法)
[06] 십이운(十二運)의 이법(理法)
[07] 자연순환(自然循環)의 이법(理法)
[08] 십이운(十二運)의 활용법(活用法)
[09] 통변성(通變星) 대(對) 십이운(十二運)의 간명법(看命法)
제2편(第二篇) 십이운성(十二運星)의 길흉특성(吉凶特性) - 032
[01] 개요(槪要)
[02] 십이운성(十二運星)
[03] 음간(陰干)의 십이운성(十二運星)
[04] 장생(長生)
[05] 목욕(沐浴)
[06] 관대(冠帶)
[07] 건록(建祿)
[08] 제왕(帝旺)
[09] 쇠(衰)
[10] 병(病)
[11] 사(死)
[12] 묘(墓)
[13] 절(絶)
[14] 태(胎)
[15] 양(養)
제3편(第三篇) 십이운기(十二運氣) ----------------------- 135
[01] 갑목론(甲木論)
[02] 을목론(乙木論)
[03] 논천간음양생사(論天干陰陽生死/三命通會)
[04] 논오행왕상휴수사(論五行旺相休囚死) 병기생십이궁(並寄生十二宮)
제4편(第四篇) 십이운성(十二運星/十二運)의 통변(通變) -- 154
[01] 장생궁(長生宮)
[02] 목욕궁(沐浴宮)
[03] 관대궁(冠帶宮)
[04] 음인궁(陰刃宮)
[05] 정록궁(正祿宮)
[06] 제왕궁(帝旺宮)
[07] 양인궁(羊刃宮)
[08] 쇠궁론(衰宮論)
[09] 병궁론(病宮論)
[10] 사궁론(死宮論)
[11] 묘궁론(墓宮論)
[12] 입묘론(入墓論)
[13] 절궁론(絶宮論)
[14] 태궁론(胎宮論)
[15] 양궁론(養宮論)
제5편(第五篇) 신강신약(身强身弱)과 왕쇠론(旺衰論) ------- 366
[01] 강약(强弱)과 왕쇠(旺衰)의 구분법(區分法)
[02] 신강신약론(身强身弱論)의 정의(定義)
[03] 신강(身强)의 조건(條件)
[04] 신강유기(身强有氣)
[05] 군주태약(君主太弱)
[06] 등라계갑(藤蘿繫甲)
[07] 문답편(問答篇)
[08] 연구과제(硏究課題)
[09] 이기명리학(理氣命理學)이란?
제6편(第六篇) 입문과정(入門課程) ------------------------- 415
[01] 비기인(非其人)이면 부전언(不傳焉)하라
[02] 비인부전(非人不傳)하라
[03] 문중비전(門中秘傳) 비공개(非公開) 이유(理由)
[04] 만사형통(萬事亨通) 부적(符籍)
[05] 큰 꿈을 이루려면
[06] 구도자(求道者)의 길
[07] 성인(聖人)이 능지성인(能知聖人)이라
[08] 대가(大家)의 덕목(德目)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명리학교재-납음오행 (0) | 2011.06.30 |
---|---|
사주명리학교재-간지체성 (0) | 2011.06.25 |
사주명리학교재-음양오행 (0) | 2011.06.23 |
십이운성(十二運星) (0) | 2011.05.02 |
오행의 기원(1) (0) | 2010.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