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무심 상수심멸 관상학 고전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백범 김구 선생이 깨달음을 얻은 구절이기도 합니다. 유상무심(有相無心)이면 상수심멸(相隨心滅)이요, 무상유심(無相有心)이면 상수심생(相隨心生)이다. 이 말은 아무리 관상이 좋아도 마음과 용기가 없으면 관상도 마음 따라 죽고, 관상이 .. 관상학 칼럼 2012.01.04
동양 관상학의 긴 기다림(한국) 리뷰(4) 우리나라에 관상학이 본격적으로 전래된 것은 7세기 초 신라의 선덕여왕 무렵이다. 고려말에는 관상가 혜징이 태조 이성계의 相을 보고 장차 群王이 될 것임을 예언하였고 조선 초 韓明澮의 相을 보고 영통사의 한 도승이 보고 재상이 될 것을 예언한 것은 『韓氏報應錄』에 전한다. 『大東奇聞』이.. 관상학 칼럼 2010.09.06
서양 관상학(觀相學) 리뷰(5) . 스위스의 관상학자 라바터(1741~1801) 그의 관상학은 스위스는 물론이고 프랑스, 독일, 영국에서 출판되어 인기가 상당히 높았다 라바터 관상학의 원칙은 보고, 표시하는 것이고, 표정을 읽는 것이라고 한다. 이 표정을 읽고 보고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면 정확하게 相을 읽는 것이라고 한다. 라바터 관.. 관상학 칼럼 2010.06.03
동양 관상학(觀相學)의 긴 기다림(일본)-리뷰(3) . 전설적인 일본의 운명학자이자 사상가인 미즈노 남보쿠(1757~1832) 그는 어려서부터 부모를 잃고서 술과 도박에 향락에 빠져 살다가 결국은 감옥에 갔고 감옥에서 가난하고 죄지은 사람들의 相이 성공한 사람들과의 차이점을 발견한다. 출감 후에 자기의 운명에 궁금증을 느껴 관상가를 찿아갔으나, 1.. 관상학 칼럼 2010.05.25
서양 관상학(觀相學) 리뷰(4) 중세 유럽의 관상학은 신학(神學)과 연계하여 발전하여 많은 지식인들과 함께 했다. 성경 구절 속에서도 관상학과 관련된 구절이 다음과 같이 내포되어 있다 구약의 외경의 말과 지혜편, 메난드로스의 잠언 구절, 마카베오 제3서 30장등에서 찿아볼 수 있다. 과학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중세적 우주관은.. 관상학 칼럼 2010.05.18
서양 관상학(觀相學)의 리뷰(3) . 현대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 히포크라테스(BC460~BC377)는 "병을 낫게 하는 것은 자연이다" 라는 설을 세워 병적인 상태에서 회복해가는 단계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이 그의 치료원칙이다. 그는 관상학을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적극 활용하여 얼굴의 혈색으로 건강 상태를 판별하고자 했다. 인체.. 관상학 칼럼 2010.05.13
서양 관상학(觀相學) 리뷰(2) . 실용성을 표방한 로마제국 관상학은 로마제국을 지배하는 권력에서 많은 영향력을 발휘했고 일반 대중에게도 관심이 높았다 또한, 천문학은 점성학의 형태로 인식되고 과학으로 입지를 굳히기 시작한다. 프톨레마이오스(100~178)에 의해 점성학적 관상학의 체계로 전환되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로마.. 관상학 칼럼 2010.05.10
동양 관상학(觀相學)의 긴 기다림 리뷰(2) . 한무제 때 韓信의 相을 본 허부는 관상학의 4대 명가로 손꼽힌다 그는 周亞夫의 相을 보고 " 그대는 3년 후에 제후에 봉해지고, 제후가 된지 8면 만에 다시 재상이 되어 존귀하지만 9년이 지나면 굶어 죽어 천수를 누리지 못한다" 라고 평했다. 그리고 우리에게 익숙한 당나라 때 마의선사의 마의상법.. 관상학 칼럼 2010.05.09
서양 관상학(觀相學) 리뷰(1) . 창시자는 기원전 6세기의 피타고라스이며 관상을 본 사람은 히포크라테스라고 한다 왜냐하면 히포크라테스에 의하여 "관상을 본다(physiognomiz)"라는 개념이 최초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관상학에서 주로 두각을 나타낸 사람들은 철학자들이었으며 기원전 2세기 폴레몬 서기 4세기 소피스트 아드만티.. 관상학 칼럼 2010.05.03
동양 관상학(觀相學)의 긴 기다림 리뷰(1) . 관상학의 기원은 기원전 770년~256년 중국 동주시대 내사벼슬을 한 숙복(叔服)이 상법을 처음으로 개창한다. 숙복은 관상학의 태두로서 천문지리와 풍수에 능한 학자였으며 노나라 문공 14년에 성괘(星卦)가 북두칠성을 침범한 현상을 보고 전국시대가 열릴 것을 예언하였으며 관상학의 시조로 등장하.. 관상학 칼럼 2010.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