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교재-십이운성 십이운성(十二運星) 제1편(第一篇) 십이운성(十二運星/十二運)의 개요(槪要) -- 005 [01] 십이운성(十二運星/十二運)의 개요(槪要) [02] 십이운성표(十二運星表) [03] 십이운(十二運)의 구분(區分) [04] 십이운(十二運) 붙이는 방법(方法) [05] 십이운(十二運) 전후인종법(前後引從法) [06] 십이운(十二運)의 이법(.. 사주명리학 2011.07.03
결혼은 언제 하는가? 명리학이 아닌 기문둔갑(奇門遁甲)에서 기문둔갑의 신수국에서 문서가 겸왕되면 결혼하여 살림을 차리고 행년이 세궁(世宮)에 임하면 결혼할 확률이 높아지고 배우자궁(남자는 財宮, 여자는 官鬼宮)에 乙과庚이 천반,지반에 있을 때도 결혼한다. 5,10土가 겸왕하는 경우에도 결혼하여 가정을 이룬다. 기문예측학 2011.06.22
악연 부모와 자식간에도 악연이 있다. 인과법으로 보면 정확히 분간이 된다. 庚丁己癸 子卯未丑 여명이다. 甲丙丁己 午子丑卯 남자아이다. 1. 계축생의 명조로 보면 기묘생은 기신인연이다. 2. 자기가 낳은 아들이지만 기신인연으로 왔으니 자애로운 어머니가 아니요 엄한 어머니가 되어 자주 매를 댄다고 한다. 3. 사랑은 인연에 따라 생긴다. 까페: http://cafe.naver.com/fungsu2000 홈페이지: www.010-6574-2003.kti114.net 메일: fungsu2000@naver.com 전화: 010-6574-2003, 070-4228-6139 학력: 국립 공주대학교 대학원 동양학과 졸업 주소: 경남 창원시 의창구 봉곡동 177-3번지 명조연구 2010.08.29
동국(東國)과 연국(煙國) 한국의 전통 기문인 동국기문은 우리의 독창적인 것으로 四柱격국을 기문으로 풀이한 것이다. 기문사주법으로서는 어디에 내어 놓아도 손색이 없는 한국적 기문학이다. 동국기문은 사주론 중심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승패득실과 길흉회인을 직단하는 용도로는 중국의 연국기문에 비해 미흡한 점이.. 기문예측학 2010.07.09
동양 관상학(觀相學)의 긴 기다림(일본)-리뷰(3) . 전설적인 일본의 운명학자이자 사상가인 미즈노 남보쿠(1757~1832) 그는 어려서부터 부모를 잃고서 술과 도박에 향락에 빠져 살다가 결국은 감옥에 갔고 감옥에서 가난하고 죄지은 사람들의 相이 성공한 사람들과의 차이점을 발견한다. 출감 후에 자기의 운명에 궁금증을 느껴 관상가를 찿아갔으나, 1.. 관상학 칼럼 2010.05.25
사주를 정하는 법(法)-3 사주정법(四柱定法)(3) 11. 기태법(起胎法) [태월(胎月) 산출법(算出法)] 기태법(起胎法)은 입태월(入胎月)의 산출법(算出法)이니 생월(生月)부터 제4위를 기준 하여 산출한다. 곧 생월(生月)이 기사월(己巳月)이면 사(巳)에서 전사위(前四位, 巳午 未申)인 신(申)이 태월(胎月)이 되는데, 신위(申位)로부터 .. 사주명리학 2010.05.14
사주를 정하는 법(法)-2 사주정법(四柱定法)(2) 7. 환신불환군론(換臣不換君論)의 시비(是非) 동방(東方)의 역학(易學)에서는 일년(一年)을 십이절(十二節) 십이후(十二候)로 나누 었으니 세칭(世稱)의 십이월(十二月) 이십사절후(二十四節候)가 그것이다. 입춘절(立 春節)은 정월절(正月節)이고, 우수(雨水)는 정월(正月)의 후(候).. 사주명리학 2010.05.12
오행통변(五行通變)- 목(木) 오행통변(五行通變)-목(木) ① 강목(强木, 多比劫身强): 인묘월(寅卯月)의 갑을일생(甲乙日生)이다. 목(木)이 월지(月支)에서 득령(得令)하고 득세(得勢)하였을 때다. 재관식(財官食)이 없으면 부모무덕(父母無德)이다. 득토유재(得土有財). 토(土)를 보면 착근(着根)한다. 토(土)는 목(木)의 재(財)이므로 .. 사주명리학 2010.05.10
병(病)이 난 이에게 병이 든 이는 다음 노래를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삼독(三毒)은 탐진치(貪嗔痴)로서,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음을 뜻한다 병은 분노(憤怒)에서 오고 분노는 번뇌(煩惱)의 과(果)며 번뇌는 욕(慾)에서 오거늘 그대의 치병(治病)은 불 지피며 연기 난다고 굴뚝울 막음이니 어리석도다 그대의 삼독(三毒)은 무.. 역학칼럼 2010.05.08
사주를 정하는 법(法) 사주정법(四柱定法) [사주(四柱) 구성법식(構成法式), 사주(四柱)를 정(定)하는 법(法)] 1. 사주(四柱)의 의의(意義) 사주(四柱)라는 것은 사람이 출생(出生)한 생년(生年), 생월(生月), 생일(生日), 생시 (生時)를 가리키는 말로써 연주(年柱),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의 네 기 둥을 말하는 것이다. .. 사주명리학 2010.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