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시자는 기원전 6세기의 피타고라스이며 관상을 본 사람은 히포크라테스라고 한다
왜냐하면 히포크라테스에 의하여 "관상을 본다(physiognomiz)"라는 개념이 최초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관상학에서 주로 두각을 나타낸 사람들은 철학자들이었으며 기원전 2세기 폴레몬
서기 4세기 소피스트 아드만티우스의 'physiognomonica' 등의 저서들이 원류라고 할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이성을 통하여 악덕을 극복하는 법"을 보면 인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개인의
특성이 숙명적인 것이 아니고 개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면서 영혼의 아름다움이
외형의 아름다움과 일치한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이론을 받아들여 매일 아침 거울을 바라보며 자신의 내면이 얼마나
성숙해 졌는가를 알기 위해 외모의 변화를 확인하라고 젊은이들에게 충고하고 있다.
'관상학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 관상학(觀相學) 리뷰(4) (0) | 2010.05.18 |
---|---|
서양 관상학(觀相學)의 리뷰(3) (0) | 2010.05.13 |
서양 관상학(觀相學) 리뷰(2) (0) | 2010.05.10 |
동양 관상학(觀相學)의 긴 기다림 리뷰(2) (0) | 2010.05.09 |
동양 관상학(觀相學)의 긴 기다림 리뷰(1) (0) | 2010.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