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용성을 표방한 로마제국
관상학은 로마제국을 지배하는 권력에서 많은 영향력을 발휘했고 일반 대중에게도 관심이 높았다
또한, 천문학은 점성학의 형태로 인식되고 과학으로 입지를 굳히기 시작한다.
프톨레마이오스(100~178)에 의해 점성학적 관상학의 체계로 전환되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로마인들에게 아리스토텔레스의 분석적 관상학이 보편적 통용 개념으로 작용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과 육체가 하나임을 시사했고, 그의 저서로서 수면중의 예언, 동물지, 관상서등이
전한다.
그의 관상보는 법은
1. 성격을 드러내는 신체 부위
2. 인성을 보여주는 신체의 외양
3. 남성과 여성의 신체적 차이
4. 다양한 동물의 외모와 행동
5. 남녀의 외모와 태도 비교
6. 얼굴생김새, 신체 부위, 목소리, 빛깔 등을 통해 이끌어내는 성격
'관상학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 관상학(觀相學) 리뷰(4) (0) | 2010.05.18 |
---|---|
서양 관상학(觀相學)의 리뷰(3) (0) | 2010.05.13 |
동양 관상학(觀相學)의 긴 기다림 리뷰(2) (0) | 2010.05.09 |
서양 관상학(觀相學) 리뷰(1) (0) | 2010.05.03 |
동양 관상학(觀相學)의 긴 기다림 리뷰(1) (0) | 2010.05.03 |